맨위로가기

CGS 단위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GS 단위계는 길이, 질량, 시간을 기본으로 하는 단위계로, 1832년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제안되었다. 센티미터(cm), 그램(g), 초(s)를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MKS 단위계와 SI 단위계로 대체되기 전까지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CGS 단위계는 역학 및 전자기학 분야에서 다양한 유도 단위를 가지며, 특히 가우스 단위계는 이론 물리학과 천체 물리학에서 여전히 활용된다. CGS 단위계는 ESU, EMU, 가우스 단위계 등의 하위 분류를 가지며, SI 단위계와의 변환을 통해 비교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터법 - 국제 킬로그램 원기
    국제 킬로그램 원기(IPK)는 1889년 킬로그램의 국제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나, 질량 변화로 인해 안정성 논란이 발생하여 SI 단위계 재정의의 원인이 되었다.
  • 미터법 - MKS 단위계
    MKS 단위계는 길이, 질량, 시간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며, 국제단위계(SI)의 기반이 되었다.
  • CGS 단위계 - 갈 (단위)
    갈은 1cm/s²로 정의되는 가속도 단위로, CGS 단위계에 속하며 지진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고 대한민국 계량법상 중력 가속도나 지진 관련 진동 가속도 측정에 한해 사용이 허용된다.
  • CGS 단위계 - 에르그
    에르그는 1다인의 힘으로 물체를 1센티미터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의 양으로 정의되는 에너지, 일, 열량의 CGS 단위로, 과거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만 사용되며 1줄의 10⁻⁷에 해당한다.
  • 단위계 - 미터법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창안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 기반의 측정 단위계로, 지구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미터를 길이의 기본 단위로 채택하여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단위계로 표준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단위계 - 측정 단위
    측정 단위는 물리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준으로, 초기에는 인체 치수나 자연 현상을 기준으로 발전했으나 국제단위계(SI)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단위의 통일과 정확한 사용은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필수적이다.
CGS 단위계
CGS 단위계
종류물리량 측정 체계
기반 단위센티미터 (길이)
그램 (질량)
초 (시간)
특징
사용 분야전자기학
대체SI 단위계로 대체됨
장점일부 계산이 SI 단위계보다 간단함
단점SI 단위계와의 호환성이 낮음
주요 단위
길이센티미터 (cm)
질량그램 (g)
시간초 (s)
다인 (dyn)
에너지에르그 (erg)
전하정전 단위 (esu) 또는 프랑클린 (Fr)
자기장가우스 (G)
변환
길이 변환100 cm = 1 m
질량 변환1000 g = 1 kg
힘 변환1 다인 (dyn) = 1 g⋅cm/s² = =

2. 역사

CGS 단위계는 1832년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길이, 질량,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절대 단위계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4] 가우스는 밀리미터, 밀리그램, 초 단위를 선택했다.[5] 1873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과 켈빈 경을 포함한 영국 과학 진흥 협회 위원회는 센티미터, 그램, 초를 기본 단위로 채택하고, "CGS 단위"라는 접두사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6]

하지만, 많은 CGS 단위의 크기는 실용적인 목적에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람, 방, 건물과 같은 일상적인 물체는 길이가 수백 또는 수천 센티미터였다. 따라서 CGS 시스템은 과학 분야 밖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1880년대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CGS는 과학적 목적으로 MKS 단위계(미터-킬로그램-초)로 점차 대체되었으며, 이는 현대적인 SI 표준으로 발전했다.

1940년대에 MKS 표준이 국제적으로 채택되고 1960년대에 SI 표준이 채택된 이후, CGS 단위의 사용은 전 세계적으로 점차 감소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 분야에서 SI 단위를 사용하지만, 이론 물리학, 천체 물리학 등 일부 분야에서는 여전히 CGS 단위계가 사용된다.[10][11]

3. 역학 단위

CGS 단위계에서 역학 단위는 SI 단위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두 단위계는 세 가지 기본 단위 중 두 가지(센티미터미터, 그램킬로그램)의 크기만 다를 뿐, 시간 단위()는 같다.

CGS와 SI 기본 단위 사이에는 1:1 대응 관계가 있으며, 역학 법칙은 어떤 단위계를 사용했는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세 가지 기본 단위를 조합하여 얻는 유도 단위의 정의는 두 단위계에서 동일하며, 각 단위계의 유도 단위에도 명확한 1:1 대응 관계가 있다.


  • v = \frac{dx}{dt} (속도의 정의)
  • F=m\frac{d^2x}{dt^2} (뉴턴의 운동 제2법칙)
  • E = \int \vec{F}\cdot \mathrm{d\,}\vec{x} (의 관점에서 본 에너지의 정의)
  • p = \frac{F}{L^2} (힘과 단위 면적에 의한 압력의 정의)
  • \eta = \tau/\frac{dv}{dx} (전단 응력과 속도 기울기에 의한 점도의 정의)


압력의 SI 단위 파스칼(Pa)이 길이, 질량, 시간의 SI 기본 단위와 관련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압력의 CGS 단위 바리(Ba)는 길이, 질량, 시간의 CGS 기본 단위와 관련되어 있다.

: 압력의 단위 = 힘의 단위/(길이의 단위)2 = 질량의 단위/(길이의 단위⋅(시간의 단위)2)

: 1 Pa = 1 kg/(m⋅s2)

: 1 Ba = 1 g/(cm⋅s2)

CGS 단위와 SI 단위를 변환할 때는 두 단위계와 관련된 변환 계수를 조합해야 한다.

: 1 Ba = 1 g/(cm⋅s2) = 10−3 kg/(10−2 m⋅s2) = 10−1 kg/(m⋅s2) = 10−1 Pa.

3. 1. 역학 단위 변환표

양의 기호CGS 단위단위의 기호단위의 정의SI 단위로의 환산
길이L, x센티미터cm미터의 1/100= 10−2 m
질량m그램g킬로그램의 1/1000= 10−3 kg
시간ts(의 기사를 참조)= 1 s
속도v센티미터 매초cm/scm/s= 10−2 m/s
가속도aGalcm/s2= 10−2 m/s2
F다인dyng⋅cm/s2= 10−5 N
에너지E에르그ergg⋅cm2/s2= 10−7 J
일률P에르그 매초erg/sg⋅cm2/s3= 10−7 W
압력p바리Bag/(cm⋅s2)= 10−1 Pa
점도μ푸아즈Pg/(cm⋅s)= 10−1 Pa⋅s
동점도ν스토크스Stcm2/s= 10−4 m2/s
파수k카이저 (K)cm−1[29]cm−1= 100 m−1


4. 전자기학 단위

CGS 단위계에서 전자기학 단위는 SI 단위계와 정의 방식이 다르며,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CGS 단위계는 전자기 현상을 역학과 관련시키는 물리 법칙을 무차원 상수만 사용하여 표현하므로, 모든 전자기 단위를 센티미터, 그램, 에서 직접 유도한다.

CGS 단위계의 전자기 단위계에는 정전기 단위(ESU), 전자기 단위(EMU), 가우스 단위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정전기 단위(ESU)는 쿨롱의 법칙에서 쿨롱 힘 상수를 1로 정의하고, 전자기 단위(EMU)는 암페어의 법칙에서 암페어 힘 상수를 1로 정의한다.

4. 1. CGS 전자기학 단위계의 종류

CGS 단위계에는 여러 종류의 전자기학 단위계가 존재한다. 주요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정전기 단위 (ESU, Electrostatic Units): 쿨롱의 법칙에서 쿨롱 힘 상수 kC = 1 로 두고 전하 단위를 정의한다. 즉, 쿨롱의 법칙은 별도의 계수 없이 F = q1q2/r2 형태로 표현된다. 전류는 전하의 시간 변화율로 정의된다.[4]
  • 전자기 단위 (EMU, Electromagnetic Units): 암페어의 법칙에서 암페어 힘 상수 kA = 1 로 두고 전류 단위를 정의한다. 즉, 두 평행 도선 사이의 힘은 F = 2I1I2l/d 형태로 표현된다. 전하는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정의된다.[4]
  • 가우스 단위계 (Gaussian Units): ESU와 EMU를 혼합한 형태로, 전기장자기장의 단위를 같게 설정한다. 맥스웰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0][13]


시스템가우스 법칙앙페르-맥스웰 법칙자기에 대한 가우스 법칙패러데이 법칙
CGS-가우스 \nabla \cdot \mathbf E^\text{G} = 4 \pi \rho^\text{G} \nabla \times \mathbf B^\text{G} - c^{-1} \dot \mathbf E^\text{G} = 4 \pi c^{-1} \mathbf J^\text{G} \nabla \cdot \mathbf B^\text{G} = 0 \nabla \times \mathbf E^\text{G} + c^{-1} \dot \mathbf B^\text{G} = 0



가우스 단위계는 이론 물리학, 미시적 시스템 묘사, 상대론적 전기역학, 천체 물리학에서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0][11]

ESU와 EMU 단위계에서, 전하, 전류 등과 같은 물리량은 각 단위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위첨자로 구분된다.[10][13] 각 시스템의 해당 수량은 비례 상수를 통해 관련된다.

CGS-ESU 시스템의 모든 전자기 단위는 고유한 이름이 없는 경우 해당 SI 이름에 "stat" 접두사를 붙이거나 "esu" 약어를 별도로 붙여서 명명하며, 해당 기호도 마찬가지이다.[14] CGS-EMU 단위계의 모든 전자기 단위는 고유한 이름이 없는 경우, 해당 SI 단위 이름 앞에 "ab" 접두사를 붙이거나 "emu" 약어를 사용하여 표기한다.[14]

4. 2. SI 단위계와의 비교

SI 단위계에서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A)는 역사적으로 "진공 중에 1m 간격으로 평행하게 놓인 무한히 작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무한히 긴 두 개의 직선 도체의 각각을 흐르고, 이들 도체에 힘을 서로 미치는 직류의 전류"로 정의되었다.[30] 이 정의에 따라 SI 전자기 단위는 CGS 전자기 단위계(CGS-EMU)와 수치적으로 일관성을 갖게 된다(10의 정수 제곱의 계수 차이). 암페어는 미터, 킬로그램, 초와 동등한 SI 기본 단위이다. 따라서 암페어 정의에서 미터나 뉴턴과의 관계는 무시되며, 다른 기본 단위의 조합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그 결과, SI 전자기 법칙은 전자기 단위를 역학 단위와 연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례 상수(전기 상수)를 필요로 한다.[30] 다른 모든 전자기 단위는 이 네 가지 기본 단위로부터 유도된다. 예를 들어, 전하(q)는 전류(I)와 시간(t)의 곱()으로 표현되므로, 전하의 단위 쿨롱(C)은 1 C = 1 A⋅s 로 정의된다.

반면, CGS 단위계는 전자기학을 위한 새로운 기본 단위를 도입하지 않고, 전자기 현상과 역학을 연결하는 물리 법칙의 표현 형식을 통해 센티미터, 그램, 초로부터 모든 전자기 단위를 유도한다. CGS 단위계에는 크게 두 가지 주요 전자기 단위계가 있는데, 하나는 정전장의 쿨롱의 법칙에서 출발하여 차원 해석을 한 '''정전 단위계'''(CGS-esu)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장에 대한 암페어의 법칙에서 출발한 '''전자기 단위계'''(CGS-emu)이다.[30] (전하의 차원 도입이 확립된 오늘날에는) CGS 단위계에 각각 정의가 다른 전하의 단위를 도입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자기에 관한 양에는 전자기 단위계, 전기에 관한 양에는 정전 단위계를 사용한 '''CGS 가우스 단위계'''도 있다.[30]

이러한 단위계를 사용하면 고전 전자기학의 기초 방정식인 맥스웰 방정식에 인수가 포함되게 된다. 쿨롱의 법칙이나 암페어의 법칙은 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유도된다는 입장에서, 이러한 인수가 기초 방정식에 포함되지 않는 정의가 선호될 때가 있는데 이를 유리화라고 한다.[30]

전자기학의 단위를 SI, CGS-esu, CGS-emu, CGS 가우스 단위계 간에 변환하는 표는 다음과 같다.[30]

전자기학 단위의 SI, CGS-esu, CGS-emu, CGS 가우스 단위계 간 변환[30]
''c'' = (무차원)
기호SI 단위ESU 단위EMU 단위가우스 단위계 단위
전하q1 C↔ (10−1 c) statC↔ (10−1) abC↔ (10−1 c) Fr
전속ΦE1 C↔ (4π×10−1 c) statC↔ (10−1) abC↔ (4π×10−1 c) Fr
전류I1 A↔ (10−1 c) statA↔ (10−1) abA↔ (10−1 c) Fr⋅s−1
전위 / 전압φ / V1 V↔ (108 c−1) statV↔ (108) abV↔ (108 c−1) statV
전장E1 V/m↔ (106 c−1) statV/cm↔ (106) abV/cm↔ (106 c−1) statV/cm
전속 밀도D1 C/m2↔ (10−5 c) statC/cm2↔ (10−5) abC/cm2↔ (10−5 c) Fr/cm2
전기 쌍극자 모멘트p1 Cm↔ (10 c) statC⋅cm↔ (10) abC⋅cm↔ (1019 c) D
자기 쌍극자 모멘트μ1 Am2↔ (103 c) statC⋅cm2↔ (103) abA⋅cm2↔ (103) erg/G
자속 밀도B1 T↔ (104 c−1) statT↔ (104) G↔ (104) G
자기장H1 A/m↔ (4π×10−3 c) statA/cm↔ (4π×10−3) Oe↔ (4π×10−3) Oe
자속Φm1 Wb↔ (108 c−1) statWb↔ (108) Mx↔ (108) Mx
전기 저항R1 Ω↔ (109 c−2) s/cm↔ (109) abΩ↔ (109 c−2) s/cm
전기 저항률ρ1 Ωm↔ (1011 c−2) s↔ (1011) abΩ⋅cm↔ (1011 c−2) s
정전 용량C1 F↔ (10−9 c2) cm↔ (10−9) abF↔ (10−9 c2) cm
인덕턴스L1 H↔ (109 c−2) cm−1s2↔ (109) abH↔ (109 c−2) cm−1s2



위 표에서 ''c'' = 는 센티미터 매 초로 나타낸 진공에서의 광속 수치(무차원량)이다. SI 단위와 CGS 단위는 대응하지만 크기가 같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 = " 대신 " ↔ " 기호를 사용한다.[30] 예를 들어, 표의 정전 용량 행에서 SI 단위 1 F은 CGS-ESU에서 (10−9 ''c''2) cm에 대응하지만, 방정식이나 수식 내에서 "1 F"을 "(10−9 ''c''2) cm"로 대체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정전 용량의 단위로서 "1 센티미터"는 진공에서 반지름 1 cm인 구와 무한 원점 사이의 정전 용량을 의미한다. 반지름 ''R'', ''r''인 두 구 사이의 정전 용량 ''C''는 다음과 같다.

:C = \frac{1}{\frac{1}{r}-\frac{1}{R}}

여기서 ''R''이 무한대에 가까워질 때 ''C''의 값은 ''r''에 가까워진다.

4. 3. 전자기학 단위 변환표

CGS 단위계의 ESU, EMU 및 가우스 단위계로의 SI 단위 변환[20][14]
물리량기호SI 단위ESU 단위가우스 단위EMU 단위
전하량q1 C≘ (10−1 c) 스타트쿨롬 (Fr)≘ (10−1) 아브쿨롬
전류I1 A≘ (10−1 c) 스타트암페어 (Fr/s)≘ (10−1) 아브암페어 (Bi)
전위 / 전압φ / V, E1 V≘ (108 c−1) 스타트볼트 (erg/Fr)≘ (108) 아브볼트
전장E1 V/m≘ (106 c−1) 스타트볼트/cm (dyn/Fr)≘ (106) 아브볼트/cm
전속 밀도D1 C/m2≘ (4π × 10−5 c) 스타트쿨롬/cm2≘ (4π × 10−5) 아브쿨롬/cm2
전기 쌍극자 모멘트p1 Cm≘ (10 c) 스타트쿨롬⋅cm≘ (10) 아브쿨롬⋅cm
전속Φe1 C≘ (4π × 10−1 c) 스타트쿨롬≘ (4π × 10−1) 아브쿨롬
유전율ε1 F/m≘ (4π × 10−11 c2) cm/cm≘ (4π × 10−11) s2/cm2
자기 B장B1 T≘ (104 c−1) statT≘ (104) G
자기 H장H1 A/m≘ (4π × 10−3 c) 스타트암페어/cm≘ (4π × 10−3) Oe
자기 쌍극자 모멘트μ1 Am2≘ (103 c) 스타트암페어⋅cm2≘ (103) erg/G
자속Φm1 Wb≘ (108 c−1) statWb≘ (108) Mx
투자율μ1 H/m≘ ((4π)−1 × 107 c−2) s2/cm2≘ ((4π)−1 × 107) cm/cm
기자력\mathcal F1 A≘ (4π × 10−1 c) 스타트암페어≘ (4π × 10−1) Gi
자기 저항\mathcal R1 H−1≘ (4π × 10−9 c2) statH−1≘ (4π × 10−9) Gi/Mx
저항R1 Ω≘ (109 c−2) 스타트옴 (s/cm)≘ (109) 아브옴
저항률ρ1 Ωm≘ (1011 c−2) 스타트옴⋅cm (s)≘ (1011) 아브옴⋅cm
전기 용량C1 F≘ (10−9 c2) 스타트패럿 (cm)≘ (10−9) 아브패럿
인덕턴스L1 H≘ (109 c−2) statH (s2/cm)≘ (109) 아브헨리



여기서 ''c'' = 는 센티미터 매 초 단위로 표현된 진공에서의 광속의 수치 값이다. 기호 "≘"는 양쪽 단위가 ''대응''하지만 ''같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의 전기 용량 행에 따르면, SI에서 1 F의 전기 용량을 갖는 축전기는 CGS-ESU에서 (10−9 ''c''2cm의 전기 용량을 갖는다.

5. 장단점

CGS 단위계는 센티미터(cm)와 그램(g)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여 실험실 규모의 측정에 적합하다. 그러나 CGS 정전기 단위계(ESU)나 전자기 단위계(EMU)는 일상적인 전기, 자기 단위와 차수가 크게 달라 불편하다. 예를 들어, 사람, 방, 건물과 같은 일상적인 물체는 길이가 수백 또는 수천 센티미터로, 실용적인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6]

반면, CGS 정전기 단위나 전자기 단위를 사용하면 맥스웰 방정식에서 유전율이나 투자율 변수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이론적 해석에 편리하다. 가우스 단위계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단위를 같게 설정하여 이론 물리학에서 유용하다.

하지만 CGS 단위계는 SI 단위계에 비해 고유한 단위 이름이 부족하여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 emu"는 15 abV를 의미할 수도, 15 emu 단위의 전기 쌍극자 모멘트를 의미할 수도, 15 emu 단위의 자기 감수율을 의미할 수도 있다.[22][23][24]

6. 같이 보기

참조

[1] 백과사전 Centimetre-gram-second system {{!}} physics https://www.britanni[...] 2018-03-27
[2] 웹사이트 The Centimeter-Gram-Second (CGS) System of Units – Maple Programming Help https://www.maplesof[...] 2018-03-27
[3] arXiv Babel of units: The evolution of units systems in classical electromagnetism 2015-05-21
[4] 간행물 Intensitas vis magneticae terrestris ad mensuram absolutam revocata http://www.21stcentu[...]
[5] 서적 Outlines of the evolution of weights and measures and the metric system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
[6] 학술대회 First Report of the Committee for the Selection and Nomenclature of Dynamical and Electrical Units https://www.biodiver[...] John Murray 2012-04-08
[7] 보고서 Guide for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physics.nist[...] 2024-03-03
[8] 인용 Physical Review Style and Notation Guide https://cdn.journals[...]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4-03-03
[9] 인용 The IAU Style Manual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4-03-03
[10] 서적 Classical Electrodynamics https://archive.org/[...] Wiley
[11] 웹사이트 cgs https://scienceworld[...]
[12] 웹사이트 Atomic Spectroscopy http://physics.nist.[...] NIST 2015-10-25
[13] 학술지 A note on the 'system-free' expressions of Maxwell's equations
[14] 서적 Encyclopaedia of Scientific Units, Weights and Measures: Their SI Equivalences and Origins https://archive.org/[...] Springer
[15] 서적 A Dictionary of Weights, Measures, and Uni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6] 서적 Lord Kelvin: His Influence on Electrical Measurements and Units IET
[17] 서적 Magnetic Field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Treatise for Practical Use https://archive.org/[...] Wiley
[18] 서적 International System of Electric and Magnetic Unit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학술지 Comments on units in magnetism
[20] 서적 Applied Electron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
[21] 서적 An Introduction to Quantum Physics W.W. Norton & Company
[22] 뉴스 Centimetre-gram-second system {{!}} physics https://www.britanni[...] 2018-03-27
[23] 웹사이트 The Centimeter-Gram-Second (CGS) System of Units - Maple Programming Help https://www.maplesof[...] 2018-03-27
[24] 보고서 Babel of units: The evolution of units systems in classical electromagnetism 2015-05-21
[25] 간행물 Intensitas vis magneticae terrestris ad mensuram absolutam revocata http://www.21stcentu[...]
[26] 서적 Outlines of the evolution of weights and measures and the metric system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
[27] 학술대회 First Report of the Committee for the Selection and Nomenclature of Dynamical and Electrical Units https://www.biodiver[...] John Murray 2012-04-08
[28] 학술지 Comments on units in magnetism 1978-01
[29] 웹사이트 Atomic Spectroscopy http://physics.nist.[...] NIST 2015-10-25
[30] 서적 Encyclopaedia of Scientific Units, Weights and Measures: Their SI Equivalences and Origins https://books.google[...]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